자기적인 방식으로 데이터를 저장하는 보조기억장치
구성 요소
플래터 : 하드 디스크에서 실질적으로 데이터가 저장되는 곳
스핀들 : 플래터를 회전시키는 구성 요소
헤드 : 데이터를 읽고 쓰는 구성 요소
디스크 암 : 헤드를 원하는 위치로 이동시키는 구성요소
데이터 저장 방식
트랙 : 플래터를 여러 동심원으로 나누었을 때, 하나의 원
섹터 : 트랙을 피자처럼 여러 조각으로 나누었을 때, 하나의 조각 일반적으로 512바이트 정도의 크기
실린더 : 여러 겹의 플래터 상에서 같은 트랙이 위치한 곳을 모아 연결한 논리적 단위 연속된 정보는 보통 한 실린더에 기록된다. (디스크 암을 움직이지 않고, 데이터에 접근 가능)
데이터 접근 과정
탐색 시간 : 접근하려는 데이터가 저장된 트랙까지 헤드를 이동시키는 시간
회전 지연 : 헤드가 있는 곳으로 플래터를 회전시키는 시간
전송 시간 : 하드 디스크와 컴퓨터 간 데이터를 전송하는 시간
탐색 시간과 회전 지연을 단축시키기 위해, 플러터를 빨리 돌려 RPM을 높이는 것도 중요하지만, 접근하려는 데이터가 플래터나 헤드를 조금만 옮겨도 접근할 수 있는 곳에 위치하는 것이 중요
전기적으로 데이터를 읽고 쓸 수 있는 반도체 기반의 저장 장치 ( USB, SD카드, SSD )
구성 요소
셀 : 데이터 저장하는 가장 작은 단위
셀 → 페이지 → 블록 → 플레인 → 다이
SLC 타입 : 한 셀에 1비트를 저장할 수 있는 플래시 메모리
MLC 타입 : 한 셀에 2비트를 저장할 수 있는 플래시 메모리
TLC 타입 : 한 셀에 3비트를 저장할 수 있는 플래시 메모리
QLC 타입 : 한 셀에 4비트를 저장할 수 있는 플래시 메모리
한 셀로 두 개의 정보를 표현 가능하다.
한 셀로 4개의 정보를 표현 가능하다.
한 셀당 8개의 정보를 표현할 수 있다.
플레시 메모리에서 읽기와 쓰기는 페이지 단위로 이루어지고, 삭제는 페이지보다 큰 블록 단위로 이루어진다.
페이지의 상태
가비지 컬렉션 : 유효한 페이지들만 새로운 블록으로 복사하여, 쓰레기 값을 삭제하는 기능
HDD와 SSD를 사용하는 기술로, 데이터의 안전성 혹은 높은 성능을 위해 여러 개의 물리적 보조기억장치를 마치 하나의 논리 보조기억장치러럼 사용하는 기술
RAID 레벨 : RAID 구성 방법 → RAID 0~50 등
여러 개의 보조기억장치에 데이터를 단순히 나누어 저장하는 방식으로 각 하드 디스크에 데이터를 번갈아가며 저장하는 방식
스트라입 : 분산되어 저장된 데이터